Skip to content

한국과학사학회

남문현 회원 서울특별시 문화상 수상

by 총무간사 posted Dec 28, 2016



남문현 회원 서울특별시 문화상 수상



남문현 회원(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명예교수)이 장영실 자격루 원형 복원과

이와 관련된 연구와 출판 등을 통해 과학문화재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15년 12월 18일 제 64회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

2015년도 제3회 과학학연합학술대회

by 총무간사 posted Dec 28, 2016


2015년 제3회 과학학 연합학술대회


날짜: 2015125() 10:00-18:40

장소: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관 1

주최: 한국과학기술학회, 한국과학사학회, 한국과학철학회

 

주제: 한국에서의 과학윤리 논쟁 되돌아보기황우석 사건 10년 후

 

개회식 (10:00-10:10)

기조 강연 (10:10-10:50)

사회: 홍성욱(서울대학교)

송상용(한림대학교),

황우석 사건회고와 반성

라운드테이블 토론 (11:00-12:30) 황우석 사건, 그 후 10

사회: 홍성욱(서울대학교)

김환석(국민대학교), 김옥주(서울대학교), 이중원(서울시립대학교)

세션 1-3 (14:00-16:00)

세션 1:

경희대-카톨릭대 SSK 공동세션: 과학기술, 시티즌십, 거버넌스

사회: 박희제(경희대학교),

발표:

김성은(KAIST),

컴퓨터공학과의 문화 전수를 통해

바라보는 공학교육 계층화

 

김효민(UNIST),

토론:

김명심(경희대학교),

발표:

김지연(고려대학교),

과학기술 속의 시민들- DNA 정보의 주제

 

조은희(조선대학교),

토론:

김기흥(POSTECH),

발표:

박주형(가톨릭대학교),

UN 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 숙의과정 평가

글로벌 프레이밍, 로컬 셋팅


 

이윤정(가톨릭대학교),

토론:

김은성(경희대학교),

세션 2:

원전 레짐의 비교사

사회: 이관수(동국대학교)

이내주(육군사관학교),

원전 레짐의 태동과 형성,

1945-1970

박진희(동국대학교),

경수로 '성공' 역사의 재구성

김덕호(한국기술교육대학교),

원전사고는 원전 레짐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TMI와 체르노빌 사고를 중심으로

이은경(전북대학교),

사용후 핵연료 정책의 변화

토론: 강윤재(동국대학교), 김상현(한양대학교)

세션 3:

기술 예측과 평가 시스템

사회: 최형섭(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병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예측은 기술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는가?기술 예측의 STS적 이해와 함의


하대청(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발표:

조아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대한 정부 경영성과 평가시스템에 관한 연구

토론:

홍정진(한국기초기술지원연구원),

발표:

현남규(제주대학교),

단 한 번의 앎혁명

토론:

김성수(서울시립대),

 

포스터 발표 (16:00-16:30)

 

 

세션 4-6 (16:30-18:30)

세션 4:

황우석 사건 이후의 과학과 윤리

사회: 이중원(서울시립대학교)

서이종(서울대학교),

황우석 사태 이후 서울대 IRB: 무엇이 문제인가

서정임(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연구에 적용되는 다양한 윤리의 상호관계 분석과 윤리적 연구 수행을 위한 자가 점검체계 제안

김영미(고려대학교),

청소년 과학연구윤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토론: 송성수(부산대학교)

세션 5:

경희대-카톨릭대 SSK 공동세션: 과학기술, 시티즌십, 거버넌스

사회: 이영희(가톨릭대학교)

발표:

신미이(청주 MBC),

인체 유래물 거버넌스바이오뱅크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제공자의 권리포기 문제

 

박범순(KAIST),

토론:

김효민(UNIST),

발표:

김종영(경희대학교),

삼성백혈병 운동의 형성과 전개

토론:

강윤재(동국대학교),

발표:

이준석(경희대학교),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로서의 연명기술 개발 및 적용여부에 대한 거버넌스 고찰

토론:

임소연(서울대학교),

황우석 이후 연구진실성 거버넌스(Research Integrity Governance)의 변화생명공학과 연구윤리 제도화의 공동생산

발표:

김명심(경희대학교),

토론:

김지연(고려대학교),

  

세션 6:

사회기술 네트워크의 탐색

사회: 김명석(국민대학교)

발표:

김환석(국민대학교),

우버(Uber) 논쟁에 대한 행위자-연결망 분석

 

김연철(서울대학교),

토론:

이강원(KAIST),

발표:

최붕기(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소셜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그래핀의 기술 기대 연구

토론:

손향구(동국대학교),

발표:

맹미선(서울대학교),

연구로서의 뇌과학과 대중의 뇌과학

토론:

장하원(서울대학교),

발표:

배선복(독립연구자),

슈밤머담의 개구리 해부학과 뢰벤훅의 정충관찰의 문제

토론:

김기윤(한림대학교),

 

폐회식 (18:30-18:40)

?

2015년도 과학사학회 추계학술대회

by 총무간사 posted Dec 28, 2016

 

2015년 한국과학사학회 추계학술대회

(58회 전국역사학대회 과학사분과)


날짜: 20151031() 10:00-18:40

장소: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0110

 

주제: 과학사와 역사교육

 

개회식 (10:00-10:10)

 

1(10:10-12:00) 과학사와 역사교육

사회: 김태호(한양대학교)

홍성욱(서울대학교),

과학과 역사학: 쿤의 과학혁명과 역사학의 대응

신동원(전북대학교),

전통과학사와 역사교육

이두갑(서울대학교),

과학사와 역사학, 그리고 STS: 프린스턴 역사학과 과학사 프로그램의 역사를 중심으로

토론: 정원(전북대학교)



2(13:30-15:30) 과학기술의료와 젠더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공동주최)

사회: 임소연(서울대학교)

최은경(서울대학교병원),

일제강점기 조선 여성의사들의 활동: 도쿄여의전 졸업 4인을 중심으로

이순구(국사편찬위원회),

빙허각 이씨의 생활과학서, 규합총서

오현미(서울대학교)

진화론과 페미니즘의 만남

정연보(한양대학교)

피임기술개발과 젠더: 1960-70년대 가족계획 사업과 피임기술 임상실험

토론: 박진희(동국대학교), 이은경(전북대학교)



       ○ 3(15:50-17:50) 자유 주제

사회: 최형섭(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범순(카이스트),

과학사에서 조영래: 과학, , 인권

한기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

생물학에서 해양학으로: 웨일랜드 본(T. Wayland Vaughan)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의 변모

조정미(대전대학교),

화학원소의 역사와

중등학교 과학교육과정

한수연(서울예술대학교),

과학교육에서 과학사 도입 논의의 이론적 지체 현상에 대한

교육학적 검토와 과제

토론: 이두갑(서울대학교), 전치형(카이스트)



4(17:50-18:40)

과학사학회 논문상 시상 및 수상자 강연

과학사학회 총회

 

 

?

2015년 한국과학사학회 춘계학술대회

by 총무간사 posted Dec 28, 2016


2015년 한국과학사학회 춘계학술대회


날짜: 2015423() - 26()

장소: 제주대학교 서귀포 연수원

 

423 장소: 대회의실

[17:00-17:20] 개회식 개회사: 홍성욱(한국과학사학회장)
나의 연구 청사진(신진연구자특강): 이두갑(서울대)

 

[17:30-19:30] 개막세션: 일반상대성이론 100
사회: 김재영

성명

소속

발표제목

이강환

국립과천과학관

일반상대성이론과 우주론

이명현

과학저술가/천문학자

일반상대성이론의 대중적 이해

박상준

서울SF아카이브

일반상대성이론과 SF

김재영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일반상대성이론의 확장과 그 철학적 해석

이상욱

한양대

토론



424

[10:00-12:00] 세션(): 한국 권위주의 시대의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
장소: 대회의실

성명

소속

발표제목

신향숙

KAIST

전두환 정권의 과학기술정책 연구: 기술드라이브정책과 기술
진흥확대회의의 의미와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김희숙

전북대

라이도와 정치: 1960년대 농어촌 라디오 보내기 운동

강미화

전북대

과학유신의 추진: 전국민의과학화운동과 새마을기술봉사단

문만용

KAIST

한국 권위주의 정치체제 하의 과학기술 발전

최형섭

서울대

토론


[10:00-12:00] 세션(): 제주의 지역성(locality)과 과학기술
장소: 소회의실

성명

소속

발표제목

윤용택

제주대

기후환경적 측면에서 본 제주 민간신앙

전영준

제주대

조선전기 제주 지역의 제지수공업과 유통

오상학

제주대

조선시대 제주도 지도의 문화적 특성

임종태

서울대

토론

 

[13:30-15:30] 세션(): 대학 연구 활동의 변천
장소: 대회의실

성명

소속

발표제목

선유정

전북대

일제시기 제국대학이 조선인 농학계 인력 형성과 그 특징: 교토제국대학을 중심으로

강기천

서울대

한국과학재단의 설립과 대학의 기초연구, 1973-1989

정부경

KAIST/국민일보

탈북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본 북한 대학 생활사

김지현

KAIST

연구대학의 형성과 생물학의 변화

김근배

전북대

토론

 

[13:30-15:30] 세션(): 원격성과 과학기술
장소: 야외 진행

성명

소속

발표제목

유상운

서울대

원격성의 역사: 거리, 도덕, 신뢰

최형섭, 강기천

서울대

과학인용색인(SCI)과 한국 과학의 원격 평가

이두갑, 박진영

서울대

식별되는 자: 원격 감시와 위치정보, 그리고 비장소(non-place)

전치형, 김성은

KAIST

The Remote Patients: Telemedicine and the Non-Place of Care in South Korea


[13:30-15:30] 세션(): 자유주제
장소: 소회의실

성명

소속

발표제목

임종태

서울대

권근(權近)의 지문(誌文)을 통해 본 조선 초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제작의 정치적 맥락

오상학

제주대

토론

김병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체계의 형성과정: 사업관리기관의 기능 형성을 중심으로, 1977-1993

한기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헨리 비글로우와 우즈홀 해양학연구소의 설립

문만용

KAIST

토론

 

[15:30-16:30] 포스터세션 (23일 개회와 함께 게시)
장소: 학회장 로비

성명

소속

발표제목

김나래

전북대

19세기 영국 지리학에서 Roderick I. Murchison의 역할

천미림

한양대

조슈아 웨지우드의 고온측정용 점토온도계를 통해 본 과학적 지식과 예술적 지식의 구획 문제

이주영

서울대

국토 공간의 근대화: 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수립을 통해서 본 박정희 시대 국가 계획과 지식의 실행

김슬기

서울대

18세기 초 을유년 역서 사건과 조선 관상감 천문학 사업의 변화

이하늘

서울대

1987년 태풍 셀마 오보사건을 통하여 본 국가와 재난

김희원

서울대

한국의 갑상선암 논쟁: ‘암과의 전쟁에서 암에 대한 전쟁으로

고원태

서울대

의약분업과 약효동등성 규제의 변화

김성화

한양대

라부아지에화학 이론에서의 무게 보존과 정밀측정의 실행


[16:30-18:30] 세션(): 경계를 넘는 융합과 새로운 과학
장소: 소회의실

성명

소속

발표제목

신유정

KAIST

Forging Brain Studi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Origins of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in Korea

백영경

한국방송통신대

두 문화의 문화와 융합 연구로서의 현지조사

이상욱

한양대

응용 과학사의 확장: 대학 교양 교육을 중심으로

홍성욱

서울대

토론

 

[16:30-18:30] 세션(): Food Science and STS
장소: 대회의실

성명

소속

발표제목

김태호

한양대

각기병의 보이지 않는 위험’:

근대 한국에서 비타민 신화의 도입과 굴절

이은희

한국외대

3공화국시기 유해색소 파동과 식품위생정책

김효민

UNIST

Functional Foods and the Biomedicalisation of Everyday Life: A Case of Germinated Brown Rice (영어발표)

Xaq Frolich

KAIST

The Reinvention of the Mediterranean Diet as ‘Biocultural Capital’ (영어발표)

 

426 장소: 대회의실

[10:00-12:00] 라운드 테이블: 한국 과학사의 자리

김근배(전북대), 임종태(서울대), 정원(전북대), 홍성욱(서울대)

 

[12:00-12:10] 폐회식

 

?

2014년 한국과학사학회 추계학술대회

by 총무간사 posted Dec 28, 2016

2014년 한국과학사학회 추계학술대회



- 일시: 2014111() 09:50-18:30

- 장소: 서강대학교 정하상관 3309

 

주제: 국가권력과 과학기술, 의료사서술

 

개회사 (09:50-10:00)

 

1(10:00-12:00) 의학사서술과 정치사회적 권력


사회: 김태호(한양대학교)

                                                 이기복(University of Westminster, UK), “조선후기 의원의 서사로 읽는 의료의 사회문화

                                                                                                                         :  질병, 주체, 허실, , 젠더

황상익(서울대학교), “일제의 한국의학사 인식과 서술: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를 말살하려 한 이토 히로부미

김옥주(서울대학교), “북한의 의학사 서술과 국가권력: 1950년대 말 파블로프 학설을 중심으로

최은경(서울대학교), “국가 발전과 표준화된 기억: 1980년대 B형 간염 대응

토론: 신동원(KAIST)



2(13:30-15:30) 사회과학, 근대국가과 역사서술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공동주최)


사회: 정연보(한양대학교)

오경환(성신여대), “19세기 프랑스 경제학의 역사: 맬서스로의 전환과 자유주의 경제학 지식

백영경(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제국의 질서와 현지 과학의 공생산: 20세기 초 인류학의 역사와 지식의 정치

조은주(연세대학교), “1960년대 한국 통계 지식과 실천의 역사사회학: ‘주한통계고문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현(한양대학교), “지성사에서 사회과학의 역사로: 한국에서의 근대화이론 수용에 대한 재검토

토론: 이두갑(서울대학교), 박정미(한양대학교)

    

 

3(15:50-17:50) 과학사서술과 국가권력


사회: 최형섭(서울대학교)

이정(서울대학교), “문명화 사명의 완성? 일제강점기 상호의존적 조일 식물 연구의 한계

현재환(서울대학교), “'地方差''孤立Mendel集團': 나세진의 혼혈적 체질인류학

이두갑(서울대학교), “과학과 국가, 그리고 시장: 닉슨의 암과의 전쟁에 대한 역사서술 변천과 과학의 상업화

이관수(동국대학교), “공공사(public history)로서 정부 R&D기구 역사서술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AEC, NASA 그리고 해군 R&D 조직의 사례를 중심으로

토론: 박범순(KAIST)



4(17:50-18:30)


사회: 정연보(한양대학교)

과학사학회 논문상 수상 및 수상자 강연

한국과학사학회 총회

 

?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8 Next ›
/ 2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한국과학사학회(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는 과학사를 연구, 보급하고 회원들간의 상호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학술 학회입니다. 이러한 학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과학사학회에서는 연구발표회, 토론회, 강연회 등을 개최하고 과학사 학회지 및 단행본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관계학회와의 교류도 활발히 하고 있으며, 회원들간의 교류를 위해 필요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Recent Comment

Phone +82-2-3703-9341 / Email khssociety@gmail.com
©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2014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