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을 위한 워크샵, “제2회 잡(Job) 생각" 개최 (7/17, 오후 2시)



올 초에 이어 과학사학회에서 대학원생을 위한 워크샵, “제2회 잡(Job) 생각"을 개최합니다.
대학원생의 연구와 취업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였으니,
대학원생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이번 워크샵은 ZOOM을 통해 진행됩니다.
접속 정보와 워크샵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일시: 7월 17일 (토), 오후 2시-5시 30분
장소: Zoom 회의 참가 [링크]
회의 ID: 837 1500 7941
암호: 2021
==========
1. 대학원생이 알면 쓸 데 있는 Job market 속 내 자리 - 연구소편
: 오후 2시~3시 30분
강연 1: 황록연(상상국어평가연구소)
강연 2: 노용보(한국기상산업기술원)
강연 3: 이다은(STEPI)
2. 대학원생이 알면 쓸 데 있는 Job market 속 내 자리 - 언론, 출판계편
: 오후 3시 40분~4시 40분
강연 1: 조장현(해나무출판사)
강연 2: 이창욱(어린이 과학동아)
3. 종합 Q&A (4시50분~5시 30분)
==========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4' |
---|
안녕하십니까. 2021년 한국과학사학회 춘계학술대회 일정을 안내드립니다.
이번 춘계학술대회는 4월 24일 토요일에 zoom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구체적인 zoom 회의실 주소, 등록 등에 대한 안내는 추후 공지를 통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당일 일정은 오후 1시부터 5시까지이며, 단독세션으로 진행되는 1부와 병렬세션으로 진행되는 2부, 특별세션인 3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1.04.24. (토) 온라인 진행 | ||
13:00-13:10 | 개회사 | |
문중양 (한국과학사학회회장, 서울대) | ||
13:10-14:10 | 1부. 현대 한국의 거대 과학기술 프로젝트 | |
1980년대 한국 중·경수로 핵연료 국산화 사업의 전개 박예슬 (서울대) | ||
“국제화 시대의 허브공항”: 인천 국제 공항 건설 계획의 수립과 변화, 1989-1995 황록연 (상상국어연구소) | ||
14:20-16:00 | 2부-1. 전통시대의 천, 지, 해 | 2부-2. 근현대 과학기술과 사회 |
노농(老農)을 위한 나라는 없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본리지」의 풍토론에 나타난 보편성과 지역성 오승현 (서울대) | 1960년대 말 컴퓨터·컴퓨토피아의 도입과 양가적 수용 조동원 (KAIST) | |
조선 후기 관상감 삼력청 조애소(助哀所) 연구 박권수 (충북대) | 19세기 새의 비행 논쟁과 항공역학의 탄생 장신혜 (서울대) | |
1795년 이충무공전서 거북선의 구조와 제원에 관한 연구 채연석 (UST) |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한 최근 서베이 결과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종교와 과학관의 변화 박형욱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 |
16:10-17:00 | 3부. 특별 세션 | |
영화 속 한국 과학사의 서사 구조 문중양 (서울대) |
일정 확인 및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국과학사학회 춘계학술대회 조직위원회 드림
안녕하세요, 한국과학사학회입니다.
과학사학회에서 대학원생을 위한 워크샵, "잡(Job) 생각"을 개최합니다.
대학원생의 연구와 취업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였으니,
대학원생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워크샵에 참가하길 원하는 분들께서는 아래의 "참가 신청" 링크를 통해
신청 서식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워크샵 프로그램과 진행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날짜: 2021년 2월 19일 (금)
시간: 오후 2시-6시
장소: zoom 회의
회의 ID: 898 9527 9907
(https://snu-ac-kr.zoom.us/j/89895279907)
참가신청: https://url.kr/ircnde
Session 1. 2시-2시55분
대학원생은 모르는, 대학원생 때 준비해야 할 것들
- 발표1: 유상운
- 발표2: 장하원
Session 2. 3시-3시 55분
국내 박사의 해외 Pre/Postdoc 경험기
- 발표1: 신유정
- 발표2: 강연실
Session 3. 4시-4시 55분
Job market 속, 내 자리 찾기
- 발표1: 현재환
- 발표2: 박지영
Session 4. 5시-5시 55분
종합 Q&A
2020년 역사학대회, 과학사분과 학회 개최 (10월 31일, 12시 40분- 18시 10분)
안녕하세요?
2020년 가을 역사학대회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힘들지만, 여러 동료분들의 귀한 발표를 듣는 즐거움을 포기할 수는 없겠지요. 그래서 이번 역사학대회는 zoom 온라인 학회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역사학대회 과학사분과에서는 현재 학위 논문을 준비하시는 젊은 연구자들의 참여가 두드러집니다. 앞으로 우리 학회를 이끌어 갈 새로운 얼굴들을 만나는 알찬 시간이 될 것입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역사학대회 2020년 10월 30일-10월 31일 (역사학대회 전체 프로그램은 추후 안내하겠습니다.)
과학사분과의 발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날짜: 2020년 10월 31일 12시 40분- 18시 10분
ZOOM 화상회의 ID: 859 8631 9635 (패스워드: 2020, 12시 30분부터 입장 가능)
ZOOM 링크: https://snu-ac-kr.zoom.us/j/85986319635?pwd=a1JuenNTU1ZsMGNHNFRYbThGdVE3Zz09
입장 및 개회사 (12:40-13:00) |
개회사 문중양 (한국과학사학회장)
서양의 과학과 문화 (13:00-14:20) 사회: 정세권 (숙명여대) |
김재영 (한국과학영재학교), 벡터에서 벡터공간으로: 헤르만 그라스만의 확장이론과 19세기 물리학
최석현 (서울대학교), 고든 파스크의 감각적 사이버네틱스
신지은 (삼성종합기술원), 서정적 기념비에서 교육센터로: 워싱턴 디씨 천체투영관의 역사
토론: 서민우 (University of Cambridge)
조선의 하늘을 살핀 사람들 (14:30-15:50) 사회: 임종태 (서울대) |
이정림 (서울대학교), 문신 측후관 제도의 변화와 중인 천문학자들의 성장
신기철 (충북대학교), 숙종대 관상감 제조의 역할과 활동
김슬기 (서울대학교), 안국빈을 통해 본 18세기 중후반 조선 천문학자의 위상
토론: 허윤섭 (서울대학교)
과학기술의 한국적 전개 (16:00-17:40) 사회: 신유정 (KAIST) |
조희수 (서울대학교), 초음파 진단기의 대중화와 새로운 임신 문화의 탄생: 1970년대-2000년대 한국을 중심으로
정원교 (서울대학교), 한국 농촌 기술지도 체계의 수립과 전개, 1957-1972
김성화 (서울대학교), 1950-1970년대 한국에서의 초지 조성과 낙농가의 성장
이슬기 (KAIST), “느린 폭력”의 관점에서 녹색혁명 다시 보기: 1970년대 농약 중독 문제를 중심으로
토론: 오승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한국과학사학회 총회 (17:40-18:10) 사회: 이정 (이화여대)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