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5회 전국역사학대회 과학사분과에 대해서도 곧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이번 역사학대회에서는 공동주제 발표에도 과학사학회 회원 두 분이 참여해서 발표하고 토론하십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세부행사
- 공동주제 발표회: 2022년 10월 28일(금) 13:00~17:50
- 역사콘텐츠 경연대회 시상
- 장소: 연세대학교 백양관(1일차)
일시 | 발표 및 내용 | |
13:00~13:10 | 개회사 | 도현철(역사학대회 회장, 연세대학교) |
|
| 사회 : 박경석(역사학대회 조직위원장, 연세대학교) |
13:10~13:40 | 제1발표 신라의 왕경 개발과 생태환경의 변형 - 불교의 역할을 중심으로 발표: 서민수(건국대학교) 토론: 이정빈(충북대학교) | |
13:40~14:10 | 제2발표 대가속의 어두움: 20세기 한국의 역사는 발전의 역사인가? 발표: 고태우(서울대학교) 토론: 이송순(고려대학교) | |
14:10~14:40 | 역사콘텐츠경연대회 시상 및 우수작 상영 | |
14:40~15:10 | 제3발표 淸代 兩湖 지역 산지 개발과 환경 발표: 김현선(동국대학교) 토론: 이상훈(한양대학교) | |
15:10~15:40 | 제4발표 태양과의 숨바꼭질: 자외선을 통해 본 20세기 일본 사회와 자연, 그리고 현대기술문명 발표: 김범성(도쿄이과대학) 토론: 송완범(고려대학교) | |
15:40~15:50 | 휴식 | |
15:50~16:20 | 제5발표 프랑스의 환경사 연구 발표: 이혜민(연세대학교) 토론: 이종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16:20~16:50 | 제6발표 서독의 ‘숲의 죽음’ 논쟁과 생태 시대로의 전환 발표: 고유경(원광대학교) 토론: 박혜정(연세대학교) | |
16:50~17:00 | 휴식 | |
17:00~17:50 | 종합토론 좌장 : 정철웅(명지대학교) |
2022년 과학사학회 국립고궁박물관 공동 춘계학술대회, "과학사와 과학유산" (5/14, 토)


첨부파일 '2' |
---|
2022년 봄 학술대회는 코로나 상황이 급변하지 않는다면, 오랜만에 오프라인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특히 올해는 새로운 임원진들로 처음 개최하는 학술대회인 만큼 보다 알차게 준비하기 위해 국립고궁박물관과 공동개최, 국립대구과학관 후원으로 학술대회를 열게 되었습니다. 뜻깊은 학술대회가 될 수 있도록 회원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좋은 발표 기다리겠습니다.
학회 일정 및 주제, 발표신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제 : 과학사와 과학유산
일시: 2022. 5. 14.(토) 10:00~18:00
장소: 국립고궁박물관 강당 및 회의실
※ 코로나 방역 단계 상향시 온-오프라인 병용 학회 개최 (사회-발표-토론자 대면 회의 진행 / 온라인 중계)
발표신청: 온라인신청, 2022년 3월 18일(금) 까지
신청링크: https://forms.gle/qnjTZ583xccEkiZr6
------------------------------------
문의:
만일 발표자가 많거나 주제와 지나치게 동떨어진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발표가 제한 될 수 있으니 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럼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10월 30일 토요일, 전국역사학대회에서 역사학대회협의회 측이 개설한 zoom 회의실을 사용하지 않는 분과의 온라인 회의 주소를 알려드립니다.
이 외 분과의 회의실 주소는 기존 공지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국역사학대회입니다.
각 학회 중 역사학대회협의회가 개설한 줌 회의주소를 이용하지 않으시는 학회의 온라인 회의 주소를 공유합니다.
학회 별로 분과발표 중 타 학회 발표를 시청하고자 하는 분들께 안내를 부탁드리며, 가능하시다면 학회의 홈페이지(외 기타 홍보방식)에도 기재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이하 총 8개 학회의 개별 온라인 회의 접속 방식을 안내드립니다.
1) 한국서양사학회
주소 :
https://yonsei.zoom.us/j/89150553122?pwd=UCtGUnlmVHcrWWdYSXk1VlZrVldrUT09
회의 ID : 891 5055 3122
암호 : western21
2) 한국역사교육학회
주소 :
https://snu-ac-kr.zoom.us/j/83761422004
회의 ID : 837 6142 2004
3) 한국과학사학회
주소 :
https://url.kr/imtohx
회의 아이디: 817 5148 5562 / 비밀번호: 2021
4) 한국고고학회
유튜브 주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XD5AhQqrE2AR9FF5FnSuUA 입니다.
채널명 '한국고고학회'입니다.
5) 역사와교육학회
주소 :
https://us02web.zoom.us/j/82543839636?pwd=ZEd0S1VsR2swbmZZRkxaMjZ1Q21GZz09
회의 ID: 825 4383 9636
암호: 397393
6) 한국미술사학회
촬영 후 녹화본을 ‘한국미술사학회 유튜브로 송출’
7) 한국사학사학회
주소 : https://us02web.zoom.us/j/3137854680?pwd=TlQ4MGI5eEJxbTh6WVllbjYwR0NJZz09
회의 ID: 313 785 4680
암호: 4m4VbR
8) 한국교육사학회
주소 :
https://us02web.zoom.us/j/89003523978?pwd=ellUWmZ3SnVONE1JK09QVldkK2x2QT09
회의 ID: 890 0352 3978
암호: 1030
-----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21.10.30. (토) 온라인 진행 | ||
입장 및 개회사 9:40-10:00 | 문중양 (한국과학사학회회장, 서울대) | |
세션 1: 역사 속의 위기와 과학기술학의 대응 10:00-11:20 사회: 김준수 (서울대) 토론: 유상운 (한밭대) | 엔지니어 개념 형성을 둘러싼 100년 간의 투쟁 | 한경희 (연세대학교) |
부안 방사성폐기물처리장 반대운동을 통해 살펴본 사회기술적 전망의 주류화와 주변화 | 김효민 (UNIST), 정승미 (KAIST) | |
부르디외, 역사 사회학, 그리고 과학기술학: 비판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 전준 (충남대학교) | |
세션 2: 환경과 보건 11:30-13:00 사회: 장하원 (경희대) 토론: 강연실 (KAIST) | 보건과 환경위생의 갈림길: 국립보건연구원의 재편과 국립환경연구소의 설립 | 박지영 (인제대학교) |
“민주적 진압 기술”?: 최루탄 공해와 시위 마스크의 냉전적 기원 | 현재환 (부산대학교) | |
공해 문제와 환경과학의 등장: 학술원 공해문제연구위원회를 중심으로 | 원주영 (서울대학교) | |
산업환경의 부상: 1960–70년대 산업화 시기의 국가와 산업의학 | 박승만 (가톨릭대학교) | |
세션 3: 조선시대의 과학과 기술 13:50-15:10 사회: 남경욱 (과천과학관) 토론: 이기복 (서울대) | 홍대용의 농수각, 유학자의 천문대 | 임종태 (서울대학교) |
자연문화물 두루미를 통해 본 조선 실학의 도구성: 기회만 있고 위기는 없었던 조선 학문의 전환 | 이정 (이화여대) | |
이순신 거북선의 공격선과 수송선의 기능에 적합한 구조와 외형 | 채연석 (UST) | |
세션 4: 근현대 동서양의 과학과 기술 15:20–17:00 사회: 신유정 (전북대) 토론: 박민아 (한양대) | 다윈은 어떻게 ‘라마르크주의자’가 되었는가 | 이종찬 (아주대학교) |
기로에 선 물리학: 솔베이 회의, 1911-1933 | 김재영 (한국과학영재학교) | |
호르몬 치료의 상품화, 회춘 연구의 정당화 | 김나영 (서울대학교) | |
메타볼리즘에서 회복탄력성으로: 인류세적 관점에서 본 전후 일본 건축의 쟁점 | 조현정 (KAIST), 박범순 (KAIST) | |
특별강연 17:10-18:00 사회: 선유정 (전북대) | 21세기 한국사회에서 메타과학 연구자로 살아가기 | 이상욱 (한양대학교) |
18:00-18:20 사회: 이정 (이화여대) | 한국과학사학회 제28회 논문상 시상식, 총회 및 폐회사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