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0월 1일 오전 9시 30분부터 서울대학교 500동 목암홀에서
"지식과 권력 - 쿤과 푸코를 넘어서"라는 주제로
한국과학사학회/한국과학철학회/한국과학기술학회 연합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처음으로 갖는 국내 과학기술학 관련학회의 연합학술대회인 만큼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부디 많은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현재 확정된 일정의 개요는 아래에 있습니다. 자세한 일정은 차후에 다시 공지하겠습니다.
아울러 오후 일반세션에 자유발표를 희망하시는 분께서는
담당학술이사 이관수(ksleeyz@gmail.com)에게
연락주시기를 요망합니다.
2011 한국과학사학회/한국과학철학회/한국과학기술학회 연합학술대회
"지식과 권력 - 쿤과 푸코를 넘어서" 10월 1일 서울대학교 500동 목암홀
09:30 ~ 10:00 개회사, 축사
제1부
10:00 ~ 12:00 제1분과 전통 한국 사회에서의 과학지식과 권력
제2분과 과학지식과 권력 - 철학적 접근
제3분과 현대 한국의 환경문제와 전문성의 정치
제2부
13:00 ~ 15:00 전체회의 : 지식과 권력
김환석(국민대), 임경순(포항공대), 정광수(전북대)
제3부
15:20 ~ 17:20 제1분과 지식의 융합
제2분과 과학기술과 정치
제3분과 일반발표 1 (확정)
제4분과 일반발표 2 (미확정)
17:20~17:40 폐회
이관수 올림.
추신: 2011 전국역사학대회는 11월 4-5일 고려대학교에서 열립니다.
전국역사학대회 과학사부 발표를 희망하시는 회원님께서도 미리 언질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LEE Kwan Soo
Assistant Professor, Center for General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Pil-dong 3 ga 26, Jung-gu, Seoul
120-750 Republic of Korea
82-(0)2-2260-8615 (Office)
ksleeyz@gmail.com
안녕하세요.
한국과학사학회는
2011년 11월 5일 전국역사학대회 과학사분과 학술회의에서
논문을 발표하실 분들을 모집합니다.
장소: 11월 4일(금) 기조발표는 고려대 국제관
11월 5일(토) 분과발표는 고려대 우당교양관
학회에서 논문발표를 원하시는 분들은 '논문의 제목'과 '간략한 요약문'을 작성하시어
학술이사(박권수, kwonsp@gmail.com)에게 9월 11일(일)까지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많은 관심과 지원을 통해
여러 선생님들의 소중한 연구결과들을 학회회원님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국과학사학회 학술이사 박권수 드림.
한국과학사학회 창립 50주년 기념 학술대회
“한국 과학사 50년, 한국 과학 50년”
2010년 11월 5-7일
전북대학교
주관: 한국과학사학회
주최: 한국과학사학회,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전북대학교 인문한국 쌀·삶·문명 연구원
후원: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서울대학교 과학기술과 사회문화 연구인력 양성 BK 사업팀, 한국연구재단
11월 5일 (금) 전북대 진수당 (바오로홀)
● 15:00-15:30 개회사
오진곤 (명예교수, 전북대)
● 15:30-15:50 축사
서거석 (전북대 총장)
이정덕 (전북대 인문한국 쌀∙삶∙문명 연구원 원장)
● 15:50-17:20 특별세션 “한국 과학사 50년, 한국 과학 50년”
김영식 (서울대) “학회 창립 50주년을 맞는 한국 과학사 학계”
김근배 (전북대)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의 역동적 변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김환석 (국민대) “한국 과학자 사회의 역사와 특징”
● 17:20-17:40 휴식
● 17:40-18:20 송상용 (명예교수, 한림대) “한국의 과학사 인맥”
● 18:20-19:00 특별강연 전상운 (명예교수, 성신대) “한국과학사학회 초창기의 회고”
● 19:00- : 만찬
11월 6일 (토) 전북대 진수당 (351호, 352호, 353호, 바오로홀)
● 09:00-11:00
1. 天學, 農學, 西學 351호
사회자: 구만옥 (경희대)
이문규 (전북대): 『개원점경』에 나타난 천체에 관한 논의
허윤섭 (건국대): 農書와 경위도
정명현 (임원경제연구소): 조선후기 견종법 보급설 논쟁 검토
안대옥 (고려대): 18세기 조선의 서학수용 패러다임에 대해서
2. 한국 농업기술사의 흐름과 과제 352호
사회자: 문만용 (전북대)
한정수 (전북대): 한국농업과학기술사의 회고와 전망
양선아 (전북대): 조선후기 대규모 간척의 기술적 특징
안승택 (전북대): 장마와 매우(梅雨) 사이: 기후는 식민지 조선의 농업을 어떻게 규정했는가
문만용 (전북대): 한국의 간접 증산 노력의 변천
3. 서양과학사의 제 문제 353호
사회자: 정원 (전북대)
성영곤 (관동대): Christian Virtuoso와 로버트 보일의 자연신학
정세권 (서울대): 초기 JAMA를 통해 살펴본 19세기 말 미국의사들의 정체성
김봉국 (서울대): 특허제도 對 순수과학을 향한 이상: 조셉 헨리가 상정한 과학적 원리와 기술적 혁신의 “바람직한” 관계
조수남 (서울대): 근대적 수학분과의 발전: 런던 대학의 ‘순수 수학’ 교육 과정 정립을 중심으로
● 11:00-13:30 포스터 발표
● 11:10-12:30 Roundtable
4. 과학사 교육의 어제와 오늘 352호
사회자: 박희주 (명지대)
조정미 (대전대): 교양과목으로서 과학사의 교육과정의 현황
이면우 (춘천교대): 초등교원 양성대학에서 (한국)과학사 교육
박진희 (동국대): 대학 교양교육에서 STS 강좌의 위상과 미래
종합토론: 성영곤 (관동대), 송성수 (부산대), 이문규 (전북대)
● 12:30-13:30 점심
● 13:30-15:30
5. 과학, 기술, 의학의 발전과 사회 351호
사회자: 임종태 (서울대)
이호중 (수원대): 프엥카레를 중심으로 한 20세기 전후의 삼체문제
전혜리 (서울대): 1934년 한의학 부흥 논쟁과 한의학 정체성의 근대적 재구성
남문현 (명예교수, 건국대): 한국의 초창기 전등과 전력 발전사
6. 생물학사 352호
사회자: 이성규 (인하대)
김준수 (서울대): 계몽주의 철학과 라마르크의 “철학적 동물학”
박지현 (국사편찬위원회): 라마르크와 프랑스 의료우생학
정성욱 (홍익대): 라마르크주의, 후성유전학의 기원 찾기
토론자: 강광일 (한국과학영재학교)
7. 과학사와 인접학문과의 생산적 소통 353호
사회자: 이상욱 (한양대)
백성혜 (교원대): 과학사가 과학교육에 주는 의미: 아보가드로의 법칙을 중심으로
박진희 (동국대): 기술사와 STS: 한국에서의 바이오가스 기술 발전사를 사례로
김재영 (이화여대): 과학사와 과학철학의 관계: 양자 불연속 논쟁과 보른의 해석을 중심으로
토론자: 홍성욱 (서울대)
● 15:30-15:45 휴식
● 15:45-17:45
8. 한국 근현대 과학·산업에 대한 이해 351호
사회자: 홍성주 (서울대)
강미화 (전북대): 과총, 과학기술회관 건립의 꿈을 이루다: 과학기술계와 정부의 새로운 관계맺기
변학문 (한국산업기술대): 1960년대 북한의 ‘기술혁명’과 ‘사상혁명’
신향숙 (전북대): 1980년대 유전공학 학과 설립의 배경
송성수 (부산대): 한국 조선산업의 성장과 기술발전
토론자: 홍성주 (서울대)
9. 국내 의학사 연구의 동향과 쟁점 352호
사회자: 황상익 (서울대)
신동원 (KAIST): 근대 이전 시기 한국의학사에 대한 연구 동향
박윤재 (연세대): 한국 근대의학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신규환 (연세대): 동아시아 의학사 연구의 동향과 쟁점
김옥주 (서울대): 한국의 서양의학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토론자: 황상익 (서울대)
10. 한국전기 120년, 사회 변화와 전력시스템의 확장 353호
사회자: 오선실 (홍익대)
오선실 (홍익대): 전기 산업의 확대와 근대 도시 문화의 변동:1920-30년대 경성을 중심으로
류승주 (한양대): 해방 후 북한의 대남송전과 전력교역
김연희 (연세대): 농촌 전화 사업과 새마을 운동
토론자 : 박태균 (서울대)
바오로홀
● 18:00-18:30 특별강연 Morris Low (University of Queensland) “Samsung vs Sony: Technology Transfer, Monozukuri, and the Rise of Korean Manufacturing”
● 18:30-19:00 박성래 (명예교수, 한국외국어대) “My kind of ‘bucket list’”
● 19:00 - 만찬
11월 7일 (일) 전북대 진수당 (351호, 352호, 353호)
● 09:00-11:00
11. 과학, 대중을 만나다 351호
사회자: 박민아 (KAIST)
유진희 (서울대): 포토저널리즘과 대중의 과학에 대한 인식:『라이프 매거진』과 원자폭탄
신지은 (서울대): 과학관에 등장한 예술품: 초기 익스플로러토리움을 중심으로
이경선 (서울대): 은사기념과학관의 위상 확립 노력: 1930년대 후반 종합박물관 설립 논의를 중심으로
토론자: 김기윤 (한양대)
12. 정책과 역사 352호
사회자: 박상욱 (서울대)
홍성주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정책 의제의 두 그룹
강호제 (이화여대): 북한과학기술정책: 최근 동향분석
박범순 (KAIST): 미국생명과학정책의 변화: 1970년대 NIH
토론자: 송상용 (명예교수, 한림대)
13. 한국 근현대 과학자의 학문과 삶 353호
사회자: 송성수 (부산대)
이태희 (서울대): 식민지시기 화학공학자 안동혁의 공업자원연구와 조선공업화론
김성원 (서울산업대): 과학자의 이미지 형성과 ‘민족주의’:‘이휘소 신화’ 사례 연구
선유정 (전북대): 현신규의 임목육종연구소 설립과 그 의의
김성민 (부산대): 한국적 엔지토리안(engitorian) 김재근-조선공학과 선박사 연구를 중심으로
토론자: 송성수 (부산대)
352호
● 11:10-11:40 특별강연 임경순 (포항공대) “과학기술과 예술의 만남”
● 11:40-12:00 이관수 (동국대) “사진으로 본 한국과학사학회 50년”
● 12:00-12:10 폐회
====================================================
포스터 발표자
권으뜸 (전북대): 1980년대 “과학기술풍토 조성사업”구축과정 -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과 국립과학관을 중심으로
김문정 (전북대): 이단을 넘어 지식으로: 왕의 후원을 통해 지식이 된 파라켈수스의 의학
김윤희 (전북대): 부안 방사선 폐기장의 안전성에서 대한민국의 민주성으로: ANT를 통해 본 부안 사태
노용보 (전북대): 경부고속도로 탄생 신화의 해체와 재구성
김영규 (KAIST): 한국 보건체계의 재건과 미군정의 역할
임현수 (KAIST): 아바타의 커밍아웃: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한국 게이 커뮤너티
김연화 (서울대): 한의학물리 세우기: 분과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봉한학 연구
성한아 (서울대): 16, 17세기 ‘근대초’ 식물학의 탄생
한선희 (서울대): 사회생물학 논쟁의 역사: ‘적응’ 문제를 중심으로
허두임 (서울대): 패러데이의 지자기 연구
현재환 (서울대): 로버트 훅의 ‘과학과 기술은 분리된 적이 없/있었다’ - 비근대성의 렌즈를 통해 본 과학과 기술의 관계 살펴보기
2010년도 전국역사학대회 안내
제 53회 전국역사학대회 일정이 확정되었습니다.
- 일정 : 5월 28일(금)~29일(토)
- 장소 :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과학사부 발표는 5월 29일(토)입니다.
자세안 안내는 첨부되어 있는 안내책자 PDF화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1' |
---|

7월 2(목)~3(금) 이틀 동안 국립과천 과학관에서 열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한 초대장을 참고하세요.
첨부파일 '1' |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